x264 medium preset으로 인코딩할때 추천해드리는 비트레이트값입니다
공식은
가로해상도 x 세로해상도 x 프레임 x 추천값 / 1024 입니다
예를 들어 720p영상이고 추천값이 0.1이라면
1280 x 720
x 30
x 0.1 / 1024 = 2700
2700k을 인코딩할때 비트레이트로 잡아주시면 됩니다
1. 드라마영상물
드라마의 경우는 스튜디오 촬영도 있고 인물위주로 샷이 잡히고 영상자체가 되게 안정적ㅇ입니다
0.07 정도만 되도 볼만하게 나옵니다 0.1 ~ 0.11 정도 주시면 충분합니다
2. 가수들 무대영상
뮤뱅음중인가 이런 무대영상들은 화려함을 추구하기때문에 영상의 내부복잡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거기에 LED 배경이나 빤짝이조명들도 비트레이트를 많이 잡아먹이죠
하지만 mpeg2로 인코딩해서 송출되는 과정에서 비트레이트 부족으로 블럭노이즈가 생기므로 무조껀 많이주는게 능사가 아닙니다
0.2 정도 추천 (근데 저는 hdtv 재인코딩하는 경우에 0.15이상 쓰지 않음 ㅋ)
3. 예능물
영상 특성이 드라마와 비슷합니다 드라마랑 똑같이 주면 됩니다
4. 60프레임으로 인코딩하는 경우
hdtv 방송물은 60i로 송출되는데 파일포멧은 30p로 되어있죠
그래서 보통 30p로 인코딩하시는데 메구이를 이용하여 60i->60p로 바꿔줄때는(스마트bob디인터레이싱)
정보량이 2배로 늘어나는것 같지만
사실상 앞두 전후의 라인들을 참고하여 복제하는 거라서 x264가 알아서 중복정보를 걸러냅니다
그래서 보통때보다 약 10~15%만 비트레이트를 더 주시면 됩니다
5. 다음팟인코더로 인코딩하는 경우
다음팟인코더는 빠른 인코딩속도를 위해
기본옵션중에 움직임 제거옵션을 상당히 저질로 맞춰놨습니다
그래서 비트레이트가 더 필요합니다
보통 20~40%이상 추가적으로 더 주셔야하고요
추가적으로 더 준다하더라도 비트레이트배분의 비효율성때문에 역시 화질에서 문제가 발생하므로
가급적이면 고급옵션에서 me와 subme옵션을 높게주고 인코딩하세요
6. 더 빡센 옵션으로 인코딩하는 경우
medium이 x264 기본인데 slow slower veryslow placibo 등등 더 빡센 옵션이 있습니다
slow로 인코딩하게되면 5%정도 적게 비트레이트를 주셔두되구요
veryslow급이면 15%정도 절약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