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는 참 고르기 힘든 부품입니다
일단 컴퓨터 성능이랑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고
전기제품이라 생산하는 업체도 많아서
브랜드나 가격대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파워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전력공급이 불안정해지고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어찌보면 cpu나 그래픽카드보다 더 중요하다고도 할수 있습니다
안정성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좋은 파워를 쓰는게 이득입니다
어떻게 이득인지 이제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표는 플레이웨어즈에서 실시한 벤치마크 자료입니다
http://www.playwares.com/xe/?document_srl=5069633#424
여기서 대중적인 스카이디지탈 파워와 천궁파워 2가지를 가지고 비교해보겠습니다
스카이디지탈파워의 풀로드시 소비전력은 366W
천궁파워의 풀로드시 소비전력은 422W
약 56W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건 풀로드시므로 평균적으로 40W 차이가 난다고 가정하고
1주일에 보통 평일에는 1~2시간 주말에는 3~4시간 사용한다고하면
약 컴퓨터를 15시간정도 사용하는 거고
이게 1년이면 50주 기준으로 15*50=750시간입니다
와트시로 계산하면 두 파워의 소비전력은 40W*750h=30000Wh=30kWh정도 차이가 납니다
한전 홈페이지 요금표를 보니 가정용 고전압(아파트) 요금은 저렇게 나오더군요
저전압(단독주택) 요금은 30원정도 더 비쌌는데 일단 고전압 요금으로 계산하겠습니다
보통 300~400kWh를 사용하니 132원과 192원의 중간값인
1kWh당 160원을 기준으로 잡으면
천궁파워는 스카이디지탈파워보다 1년에 160*30=4800원정도 더 전기요금을 먹는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두파워의 가격차이는 약 만원정도
2년이면 본전을 뽑는거고 그 이후로는 스카이디지탈 파워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겁니다
좋은 파워-> 비싼 가격 ->but 좋은 전력 효율->전기 요금으로 보상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
일단 컴퓨터 성능이랑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고
전기제품이라 생산하는 업체도 많아서
브랜드나 가격대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파워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전력공급이 불안정해지고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어찌보면 cpu나 그래픽카드보다 더 중요하다고도 할수 있습니다
안정성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좋은 파워를 쓰는게 이득입니다
어떻게 이득인지 이제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표는 플레이웨어즈에서 실시한 벤치마크 자료입니다
http://www.playwares.com/xe/?document_srl=5069633#424
여기서 대중적인 스카이디지탈 파워와 천궁파워 2가지를 가지고 비교해보겠습니다
스카이디지탈파워의 풀로드시 소비전력은 366W
천궁파워의 풀로드시 소비전력은 422W
약 56W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건 풀로드시므로 평균적으로 40W 차이가 난다고 가정하고
1주일에 보통 평일에는 1~2시간 주말에는 3~4시간 사용한다고하면
약 컴퓨터를 15시간정도 사용하는 거고
이게 1년이면 50주 기준으로 15*50=750시간입니다
와트시로 계산하면 두 파워의 소비전력은 40W*750h=30000Wh=30kWh정도 차이가 납니다
한전 홈페이지 요금표를 보니 가정용 고전압(아파트) 요금은 저렇게 나오더군요
저전압(단독주택) 요금은 30원정도 더 비쌌는데 일단 고전압 요금으로 계산하겠습니다
보통 300~400kWh를 사용하니 132원과 192원의 중간값인
1kWh당 160원을 기준으로 잡으면
천궁파워는 스카이디지탈파워보다 1년에 160*30=4800원정도 더 전기요금을 먹는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두파워의 가격차이는 약 만원정도
2년이면 본전을 뽑는거고 그 이후로는 스카이디지탈 파워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겁니다
좋은 파워-> 비싼 가격 ->but 좋은 전력 효율->전기 요금으로 보상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